실존주의의 선구자 '키르케고르'(Kierkegaard)에 대한 탐구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교육정책뉴스 한진리 기자] "건강했던 사람이 병에 걸리면, 의사는 그에게 예전에는 건강했지만 지금은 병이 생겼다고 이야기해줄 수 있다. 하지만 절망은 이와 다르다. 절망이 생겨났다면, 이미 오래전부터 절망의 싹이 존재한 것이다."

이는 덴마크의 실존주의 철학자 '키르케고르'(Søren Aabye Kierkegaard, 1813~1855)의 저서 '죽음에 이르는 병'에 나오는 문장이다.

그는 유년시절 어머니와 다섯 누이들을 모두 잃는 비극을 겪는데, 이를 자신의 탓으로 여긴 아버지는 깊은 절망과 우울에 빠지게 된다. 어린 키르케고르는 아버지를 가까이서 지켜보며 정서적으로 많은 영향을 받는다.

어릴때부터 사람들과 어울리기보다 홀로 사색하는 시간이 많았던 키르케고르는 이론보다는 삶 자체가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따라서 그의 사색은 “내가 무엇을 알아야 할 것인가”가 아니라, “내가 무엇을 해야 할 것인가”가의 방점이 찍혀있었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키르케고르의 관점에서는 제 아무리 훌륭한 철학을 주장해도, 내 삶이 그렇지 않거나 읽은 책이 산더미처럼 쌓여 있어도 삶에 적용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나의 실존과 상관이 없는 것이다.

그에게 진리란 보편적인 것이 아니라 '나' 자신에게 해당하는 것이다. 머릿속 개념보다 중요한 것은 실제적인 행동이며, 보편적인 것보다 중요한 것은 개별적인 것, 즉 '단독자'(Der Einzelne)다.

그는 단독자인 인간은 '절망'을 통해서 자신의 실존을 자각하고, 절대자인 신에 대응할 수가 있으며, 진정한 신앙을 얻는다고 보았다.

이와 같이 고독이나 절망, 또는 불안 등을 매개로 하여 '실존'으로서의 인간의 진정한 모습을 명확히 한다는 생각은 키르케고르 이후 실존주의에 공통이 되는 기본사상을 이룬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키에르케고르는 불안을 "자유의 가능성" 이라고 정의했다.

불안한 인간은 현재의 자신에게 만족을 느끼지 못하고, 이는 인간을 발전하게 하는 원동력이 되기 때문이다.

키르케고르는 '실존'에 대한 고찰을 통해 인간의 구체적인 삶 자체를 문제로 삼으며 철학사의 한 획을 남겼다.

그가 사용한 언어들이 우울 · 불안 · 절망 · 죽음에 이르는 병 등 지나치게 우울하여 비판을 받기도 했지만, 키르케고르는 이러한 절망에만 머물지 않았다.

'이것이냐 저것이냐'라는 것은 우리의 결단을 위한 토대이고, ‘죽음에 이르는 병’은 초월로 향하는 길잡이 역할을 하며, ‘불안과 절망’은 인간을 발전적으로 몰고 가는 힘이 된다는 것이다.

 

 

저작권자 © 교육정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