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형 없앤 수학, 난이도 큰 상승…평가원 "선택과목별 응시자 점수 공개 못 해"

사진=연합뉴스 제공
사진=연합뉴스 제공

[교육정책뉴스 장연서 기자] 처음으로 문·이과 통합 체제로 치러진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6월 모의평가에서 국어와 수학, 영어 영역의 난이도가 전반적으로 어려웠던 것으로 나타났다.

바뀐 수능 체제에 적응해야 하는 가운데 시험 난이도마저 올라 수험생들에겐 만만치 않은 시험이었을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지난 3일 전국적으로 실시한 6월 모의평가 채점 결과를 29일 발표했다.

사진=연합뉴스 자료 제공
사진=연합뉴스 자료 제공

영역별 1등급 커트라인(컷)은 국어가 132점, 수학은 134점이다.

영역별 표준점수 최고점(만점)을 보면 국어 영역은 146점으로 작년에 시행한 2021학년도 수능(144점)보다 2점 올랐다.

표준점수는 수험생의 원점수가 평균 성적과 얼마나 차이 나는지 보여주는 점수다. 통상 시험이 어려워 평균이 낮으면 표준점수 최고점은 상승하고, 시험이 쉬워 평균이 높으면 표준점수 최고점은 하락한다.

가형·나형 구분이 없어진 수학 영역에서 표준점수 최고점은 146점으로 작년 수능 때 표준점수 최고점(수학 가형 137점, 수학 나형 137점)보다 9점 상승했다. 수학 역시 작년 수능보다 난이도가 훌쩍 상승했다는 뜻이다.

표준점수 최고점자(만점자) 비율의 경우 국어는 0.05%로, 작년 수능(0.04%)보다 0.01% 포인트 확대됐다. 수학에서는 0.22%가 표준점수 최고점을 받아 지난해 수능 때 수학 가형(0.70%)보다 0.48% 포인트, 수학 나형(0.53%)보다는 0.31% 포인트 각각 축소됐다. 절대평가여서 등급만 나오는 영어 영역에서는 1등급 학생 비율이 5.51%로 나타났다. 지난해 수능(12.66%)보다 절반 이상 쪼그라들었다.

절대평가인 한국사 영역의 1등급 비율은 14.63%로 집계됐다. 지난해 수능(34.32%)보다 20% 포인트 가까이 축소됐다.

문·이과 통합 체제로 치러진 탐구영역에서 1등급 컷을 보면 사회탐구의 경우 66∼72점, 과학탐구도 66∼72점 분포로 나타났다. 탐구 선택과목별 표준점수 최고점은 사회탐구는 세계사(72점)가 가장 높고, 생활과 윤리(66점)가 가장 낮았다. 과학탐구에선 화학Ⅱ(72점)가 최고, 생명과학Ⅰ(66점)이 최저로 나타났다. 직업탐구의 과목별 표준점수 1등급 컷은 67∼74점에서 형성됐다.

올해부터 절대평가 방식이 도입된 제2외국어/한문 영역에서 1등급 학생 비율은 2.53∼14.79%로 나타났다. 베트남어Ⅰ의 1등급 학생 비율이 14.79%로 가장 높고, 독일어Ⅰ에서는 2.53%로 가장 낮았다.'

6월 수능 모의평가 응시 수험생 분포.. 평가원 측 표준점수 분포 공개 안 해

6월 수능 모의평가에 응시한 수험생은 39만 9천 818명이었다. 재학생은 34만 2천 630명, 졸업생 등(검정고시 포함)은 5만 7천 188명으로 집계됐다. 졸업생 등의 비율은 14.3%로 작년 6월 모의평가 때와 유사했고 수능(29.9%)보다는 낮았다.

국어의 선택과목별 응시자 비율은 '화법과 작문'이 72.2%, '언어와 매체'가 27.8%였다. 수학에서는 '확률과 통계'가 55.4%로 가장 많고, '미적분' 37.1%, '기하' 7.5% 순이었다.

문·이과 통합 체제에 따라 문과 학생들이 불리해질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한 가운데 평가원은 선택과목별 응시자의 표준점수 분포는 공개하지 않겠다고 선을 그었다.

평가원 의견 수렴 결과 학교 현장에서는 진로·진학 지도를 위해 선택과목별 응시자 점수 자료를 공개하라는 의견이 많았는데도 문·이과 통합 취지상 공개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평가원 관계자는 "선택과목별 점수를 공개하면 학생들은 공개된 점수를 가지고 실력보다는 전략적인 방식, 비교육적 방식으로 특정 선택과목에 몰릴 수 있다"고 지적했다.

입시업계는 선택과목제 확대로 문과생이 불리한 현상이 기정사실화됐고, 선택과목별 점수를 공개하지 않아 학생 혼란이 가중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한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 자가격리, 유증상으로 시험실에 입실하지 못해 온라인 응시 홈페이지를 이용한 수험생은 5천79명으로 집계됐다.

[출처=연합뉴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교육정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