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대학 입학생 미충원의 4분의 3이 지방대에서 나와...존립 위기
정부 지원 확대, 성인학습자 유인 등 해결책 제시돼

[EPN 교육정책뉴스 김나혜 기자] 지방대학이 입학 정원 충원 문제로 붕괴 위기에 직면한 가운데, 이에 대한 해결 촉구 움직임 및 대책들이 등장하고 있다.

지난 29일 부산, 경남지역 대학 노조가 부산시청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이 기자회견을 연 것은 지방대학 소멸에 대한 대책 마련을 촉구하기 위함이었다. 대학노조는 입학 정원도 채우기 힘든 지방대학의 현실을 지적하며, 정부가 상황을 근본적으로 개선할 것을 요구했다.

지방대학 소멸 위기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대학노조가 제기한 문제는 결코 허구가 아닌 현실이다. 올해 대학 신입생 미충원 인원 총 4만 명 중 75%에 해당하는 3만 명 가까이가 지방대의 정원이다. 이러한 지방대 정원 미달 사태는 지방대학의 '소멸' 우려를 불러일으킨다.

실제로 모든 지역의 대학 등록률이 90% 이상이었던 작년과는 달리 올해는 강원, 경남, 경북, 전북 지역의 등록률이 90%에 미치지 못했다. 특히 경남은 85%를 기록해 급감한 수치를 드러냈다.

중도탈락률 역시 지방대에서 높게 나타난다. 지난 2019년 비수도권 대학생의 중도탈락률은 5.4%로, 수도권 대학보다 2% 높았다. 2000년 이후 폐교된 대학 18곳 중 단 하나를 제외한 17개교가 지방대였다는 것에서도 위기가 잘 드러난다.

오는 입학 정원이 현재와 같을 경우 2024년 전체 대학의 미달 인원이 10만 명이 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하면, 앞으로 지방대학의 문제는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지방대의 위기는 수도권 집중 현상과 관련이 있다. 수도권은 생활 기반 시설 등 인프라가 잘 되어 있고 일자리도 풍부하다. 반면 지방은 수도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정이 열악하다. 이로 인해 수도권으로의 인구 집중이 발생했고, 이는 지방대 지원자 감소로 이어졌다.

수도권 대학 선호 현상도 심해지며 이러한 위기를 가속화했다. 지방대 소멸 문제가 역으로 지역 소멸 문제를 심화시킬 수도 있기에 지방대의 위기는 더 심각하게 인식된다.

지방대학 활로 모색

[사진=Pixabay]
[사진=Pixabay]

이러한 가운데 지방대학의 소멸을 막고 새로운 활력을 되찾기 위한 여러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지방대 붕괴 문제가 국토의 균형 발전과 연계되어 있는 만큼, 대선 후보들도 이와 관련된 견해를 제시한다. 30일 더불어민주당 서동용 의원은 지방대학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국가와 지자체의 지원을 돕는 법안을 발의하기도 했다.

아예 다른 방향으로 눈을 돌린 해결책도 나왔다. 30일 경남연구원은 성인학습자의 입학을 늘리는 것을 지방대 소멸 문제의 해결 방법으로 제시했다. 고교 졸업생 및 대학 신입생 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할 전망이므로, 산업체 재직자 등 성인학습자를 대학으로 끌어들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계약학과 활성화 등 대학이 입학을 위해 운영하는 프로그램들을 강화할 필요성을 제시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교육정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